스토리1

나무사이 계산법

기러기러기 2009. 11. 12. 23:41
목재단위(량)와 단가 계산법

1사이(재;材):
목재의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치×1치×12자 또는 3치×4치×1자를 1재(材) 또는 1사이 라고하고, 모든 목재의 양을 말할때는 '몇사이'인목재라고 한다.


예를 들면 가로 세로 길이가 1치×1.5치×12자인 각목1개는

1.0×1.5×12÷12=1.5로 계산해서 1.5사이라고 부른다.

또, 가로×세로×길이가 5치×5치×8자인 목재사각기둥은 5.0×5.0×8÷12=16.7사이가 나온다.
목재의 치수가 1cm 또는 1nch로 표시 되었을때는 '치'수로 고쳐서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목재의 단가 계산은 목재의 사이당단가(목재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르다)
×계산된 목재의 양(사이)=목재의 가격이다.
※1nch=25.40…mm 

통나무의 재적은 말구 지름자승법에 의해 구해 진다.

즉 말구지름을 자승한 후 길이를 곱해서 재적을 구한다. 이 때 6m 미만 통나무와 6m 이상의 통나무의 계산법이 다릅니다.

 

   ▶ 6m 미만일 때 V(m3) = D ×D X L X 1/10,000


   ▶ 6m 이상일 때 V(m3) = (D + (L' - 4)/2)2 X L X 1/10,000


        - D는 말구최소지름(cm)

        - L 통나무 길이 단위(m)

        - L'는 길이에서 1m 미만의 끗수를 끊어 버린 것(m)

        - 통나무의  말구의 지름단위 : 2Cm

        - 통나무의 길이 단위 : 0.1m 로 하고  단위치수 미만 끝수는 끊어 버린다.

 

재적이 구해졌으면 실제 거래단위인 사이(才)를 구한다.

 

    1사이는 1치x1치x12자이고 1m3은 299.457(약 300)사이이다.

    이것은 기본적인 공식일뿐 실제 100본이 넘는 통나무를 일일이 재적 계산을 하지 않는다.

    재적은 재적 조견표에 의해 말구의 지름과 길이만 알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원목의 규격은 말구 얼마라는 식으로 표현하는데, 통나무집에 적합한 원목은

    각자 다르겠지만 저의 경험상 최소 말구가 26cm이상은 되어야 하고 30Cm 면 좋다.

    그래야 원하는 부재의 두께와 면을 확보 할 수 있고 30Cm  이상인 통나무는 잘려나가는 부분이

    많아 손실이 크다.

 

                                                 많이 사용하는 통나무의 재적표(m3)

 

 

  3.8m

  5.4m

  7.3m

   8m

  10.1m

   11m

   12m

   12.4m

  24cm

  0.219

  0.311

  0.475

  0.541

  0.736

  0.832

  0.941

  0.972

  26cm

  0.257

  0.365

  0.552

  0.627

  0.849

  0.957

  1.080

  1.116

  28cm

  0.298

  0.423

  0.635

  0.720

  0.971

  1.091

  1.229

  1.270

  30cm

  0.342

  0.486

  0.724

  0.819

  1.100

  1.234

  1.387

  1.433

  32cm

  0.389

  0.553

  0.819

  0.925

  1.237

  1.386

  1.555

  1.607

  34cm

  0.439

  0.624

  0.920

  1.037

  1.383

  1.547

  1.733

  1.791

  36cm

  0.492

  0.700

  1.027

  1.155

  1.536

  1.716

  1.920

  1.984

 

 

  재적표의 재적에 300을 곱하면 사이수가 된다.

 예를 들어 말구 28cm에 길이가 12.4m이면 재적수는 1.270이다.

 여기에 300을 곱하면 사이수는 381사이가 된다. 사이수를 구했으면 사이수에

 사이당 가격을 곱하면 원목의 가격이 나온다.

 여기에 부가세를 더하고 상차비(원목을 트럭에 실어 주는 비용)와 운반비를 계산하면 최종적인

 원목의 가격이 된다.

 원목을 주문 할 때는 도면 설계대로 자기가 필요한 말구의 크기28, 30과 같이 두가지 정도의 치수로 주문

 하는 것이 나무를 선별하기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