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펑!

노나무

기러기러기 2010. 2. 3. 20:53
[노나무 복용시 혈액형 O형은 조심해야

다른 혈액형은 노나무만 달여 먹어도 해롭지 않은데 혈액형이 O형 중에 진짜에 가까운 O형은 노나무를 달여 먹이면 몇시간 안에 죽어 버려요.  그래서 다른 약물에 합성하되 석고가 노나무 5돈이면 석도도 5돈, 노나무 5냥이면 석고도 5냥을 넣어 가지고 처방을 한 약은 O형도 병 고쳐요.  그래서 O형의 처방은 상당히 신중해야 돼요.  

간암, 간경화에 노나무가 양약


노나무라는게 재백목(梓白木)인데 노나무재(梓)자, 재백목인데, 어디 가든지 개오동나무를 재백목이라고 팔아.  여기, 함양서 사게 되면 재백목을 사, 노나무야.  그것도 서 근 반, 모조리 서 근 반이야.  그러고 생강, 감초도 서 근 반, 감초는 원감초라고 써야 틀림없어.  그렇게 해 가지고 그걸 집에 가서 흠씬 고아요.  

하루 고아요.

하루를 고아 가지고 약은 짜지 말고 싹 물만 따라서 버리고, 그러고 물을 졸여 가지고 아주 진하게 해서 처음에는 숟가라으로 한 숟가락씩 먹다가 이상이 없을 때에는 소주잔으로 한 잔씩 하루 열번이고 부지런히 먹되
]

뿌리껍질 및 나무껍질의 채취는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흙과 모래를 씻어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뿌리껍질에는 isoferulic acid, sitosterol, phydroxybenzoic acid를 함유한다.  나무껍질에는 p-coumaric acid, ferulic acid를 함유한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해열,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유행병 발열, 황달, 반위(위의 구역질 등), 피부가려움증, 창개(瘡疥)를 치료한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분말로 갈아 개어서 바른다.  혹은 달인 물로 씻고 목욕한다.  

개오동나무의 목재의 성분은 재목내지(梓木內
) catalpalactone을 함유한다.  

또 다종차곤(多種茶
) napbthoquinone 유도체를 함유하지만 그 가운데서 이미 확인된 것으로는 α-랍파동(拉杷
: α-lapachone)이 있다.

<악영본초>에서는 "수족통풍을 치료하려면 개오동나무의 목재를 달여 통 위에서 증발시킨다.  이때 끓인 기운이 눈에 들어가게 해서는 안 된다.  곽란으로 토하지도 못하고 설사하지도 못하는 것을 고치려면 개오동나무 목재를 잘 썰어 달인 농즙을 토제(吐劑)로 쓴다."

개오동나무의 의 성분은 p-coumaric acid, p-hydroxybenzoic acid 2%를 포함한다.  약리작용에서 냉침액(冷浸液), 온침액(溫浸液)은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 아에로게넥스균에 대한 억제 작용을 한다.  채취한 지 6개월 지난 것의 물 추출액은 신선한 잎에서 난 것보다 작용이 강하고 또한 acetone 추출액은 다른 용매를 사용한 것보다도 작용이 강하다.  항진균 작용은 하지 않는다.

달여서 소아의 장열(壯熱), 모든 창개(瘡疥), 피부 가려움증에 환부를 씻는다.  

개오동나무의 열매는 가을에서 겨울까지 채취한다.  열매의 성분은 catalposide, des-p-hydroxy benzoylcatalposide, p-hydroxybenzoic acid, citric acid, 납(蠟)을 함유한다.  종자는 p-hydroxybenzoic acid, β-sitosterol과 지방산을 함유한다.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이뇨하며 부종, 만성 신염, 단백뇨를 치료한다.  외용으로 쓰면 살충한다.

약리작용에서 개오동나무 열매의 수용성 추출물과 과피, 종자의추출물은 rat, 토끼에 대하여 이뇨 작용을 하는 동시에 전해질의 배출을 증가시킨다.  열매에서는 이뇨 작용을 하는 배당체가 추출된다.  rat의 이뇨 실험에서는 des-p-hydroxy benzoyl catalposide의 작용이 catalposide보다 강하며  전자는 주로 나트륨 이뇨를 나타내며 후자는 염소 이온 이뇨를 나타낸다.  rat의 오줌이 산성인 것에서는 2종류의 배당체의 이뇨 작용이 약해지며 오줌이 알칼리성인 것에서는 이뇨 작용이 강해진다.  두 종의 배당체는 양측의 부신을 절제한 rat에 대하여 모두 나트륨 이뇨를 나타낸다.  rat의 탄산탈수산소(炭酸脫水酸素)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을 하지 않고 순환 계통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이 없다.  독성은 약하고 그 이뇨 작용은 신소체(腎小體)에 대한 영향에 의한 것이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펑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죽을 때 후회하는 스물다섯가지  (0) 2010.11.19
야관문 의 효능  (0) 2010.03.23
접골목  (0) 2010.02.02
[스크랩] 산이란 산은 이속에 다 있다  (0) 2009.11.02
[스크랩] 컴이 느릴때..  (0) 2009.09.07